1.1 영어의 기본: have to go
have to: 책임을 소유하다
I have to go.
이 문장은 난 가야 한다는 뜻의 영어 표현이에요. 신기하게도 이 문장에서 사용된 단어 'have'는 의무와 필요성을 나타냅니다. 어떻게 해서 'have'가 의무와 필요성을 나타내게 된 걸까요?
원래 'have'는 ‘소유’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기억하실 거예요. 그런데 여러분이 무언가를 소유하고 있다면 그것에 대한 책임도 가지게 됩니다.
여러분이 귀여운 강아지 같은 반려동물을 키운다면 그걸 소유하고 있는 것인데, 반려동물을 소유하고 있다면 그것을 잘 돌볼 책임도 가지게 되죠. 책임이 있기 때문에 먹이 주기, 산책 시키기 등의 여러 가지 일들을 해야 하는 필요와 의무가 생기게 되는 거예요.
즉, 소유가 책임을 형성하게 하고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의무가 생기는 겁니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자유롭게 살 수 있지만 우리의 자유엔 책임이 따르며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꼭 지켜야만 하는 규칙이나 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자유롭게 걸어 다닐 수 있지만 그런 자유를 잘 누리려면 무단횡단을 해서는 안 되며 교통신호를 잘 지켜야만 합니다.
이런 배경에서 "I have to go."는 가야 한다는 뜻을 나타내게 된 거예요. 가야만 하는 ‘책임’과 ‘의무’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죠.
이 문장을 다음과 같이 풀어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I have a responsibility to go.
내가 책임을 가지고 있는데 그건 바로 가는 책임이라는 거죠. 가야 할 책임이라는 겁니다.
I don't have to go.
반면에 이 문장은 가야 할 책임이나 의무를 소유하고 있지 않다는 뜻을 나타내요. 그래서 난 가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물론 내 선택에 따라 갈 수도 있지만 가야 할 책임, 필요, 의무는 없다는 것이지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