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지식 학습 1
Something vs Anything
영어 단어 'thing'은 ‘어떤 대상’을 의미합니다. 'thing'은 어떤 물건이 될 수도 있고, 어떤 개념이나 생각, 상황을 의미할 수도 있어요.
sweet things
이건 사탕, 초콜릿 같은 달콤한 것들이죠.
Love is a simple thing.
사랑은 단순한 것이라고 하네요.
원래 'thing'은 ‘집회’, ‘회의’, ‘법정’이라는 의미였어요. 옛날 영어권 사람들은 집회나 회의, 법정에서 다양한 문제들, 사건들을 논의했고 이런 다양한 것들을 가리키는 말로 'thing'의 의미가 확장되어 사용되었습니다.
이런 언어 역사적 배경이 있기 때문에 한국어에는 'thing'에 정확히 대응하는 말이 없습니다. 'thing'은 순수하게 영어스러운 말입니다.
'something'은 'some'과 'thing'이 합쳐져 만들어진 말이에요. 여기서 'some'은 정확한 수량은 모르지만 일부 혹은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이 확실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I have some apples.
이 문장은 많지는 않지만 내가 사과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는 뜻이에요.
Would you like some coffee?
이건 너 커피를 좀 마시겠냐고 물어보는 문장이죠. 잔뜩 마시겠냐고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마시겠냐고 물어보는 겁니다.
따라서 'something'은 어떤 것인지는 모르지만 그것이 있다는 것이 확실할 때 사용하는 말이 되었어요.
I saw something.
이 문장에선 내가 뭔가를 봤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그것이 무엇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확실하게 뭔가를 본 거예요. 그게 존재한다는 것을 확신하는 겁니다.
I need something to eat.
이 문장은 내가 먹을 어떤 것이 필요하다는 말이고요. 어떤 것을 먹을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어떤 확실한 먹을 것이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any'는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거나 전혀 없다는 뜻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I don’t have any apples.
이건 사과를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뜻입니다.
Do you have any questions?
이 문장은 어떤 질문이든 상관없는데 너 질문 있냐고 물어보는 말이고요. 'any'는 특정한 한계를 두지 않고 모든 가능성을 표현하는 말이에요. 제한이 없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anything'은 어떤 것이든 괜찮거나, 없어도 괜찮거나, 존재 여부가 불확실한 대상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 되었어요.
I didn't see anything.
내가 아무것도 못 봤다는 뜻입니다.
Does your name mean anything?
이 문장은 어떤 것이든 괜찮고, 없어도 괜찮은데 너의 이름이 어떤 걸 의미하는지를 물어보는 말이에요.
mean: thing이 의미하는 것
Does your name mean anything?
이 문장에서 사용된 말 'mean'은 한국어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말이 없습니다. 한국어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말이나 개념이 없을수록 영어의 새로운 말을 우리 한국인들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우리 언어문화에 없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에요. 그래서 영어를 배우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고요.
'mean'과 같이 한국어에 없어서 우리가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영어 단어들을 어떻게 학습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저의 설명을 들어보세요. 핵심은 영어의 그 말을 왜 사용하게 되었는지 그 배경을 학습하는 겁니다.
옛날 영어권 사람들은 부족이 집회를 열고 여러 가지 사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했습니다. 이때 나온 단어가 ‘thing’이라고 했고요.
사람들은 집회에서 자신의 생각과 의도를 설명해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끼리 합의해 어떤 사안에 대한 ‘의미’를 결정하는 과정이 진행되었고요. 회의에서 말을 하는 사람은 자신의 말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명확히 해야 했습니다.
이런 배경에서 나온 영어 단어가 바로 'mean'이에요. 'mean'은 어떤 대상(thing)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는 개념으로서, 한국어로는 ‘의미하다, 뜻하다’라고 해석되는 말입니다.
Does your name mean anything?
이 문장은 네 이름이 의미하는 게 무언가 있는지를 물어보는 말이에요.
both : 둘 다 포함
They both like music.
그들 둘 다 음악을 좋아한다는 뜻입니다.
'both'는 둘 다 모두 포함한다는 의미를 표현하는 영어스러운 말입니다. 한국어엔 'both'에 해당하는 개념이 없어서 이 말을 해석할 수는 있어도 좀 생소하게 느껴지죠. 한국어는 대상을 명확히 구분하지도 않고 사물의 수도 구분하지 않는 언어라 'both'와 같이 두 개를 강조하는 개념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영어에선 왜 'both'와 같은 말이 발달한 걸까요?
영어에선 ‘둘’을 강조하는 구조가 존재하는데, 고대 영어권 문화에선 둘을 의미하는 쌍 개념이 법과 전통문화에서 중요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법적인 문제를 다룰 때 증인은 두 명 이상이 있어야 했던 전통이 있습니다. 한 사람이 아니라 두 명 이상이 증언하면 더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에요.
'both'는 정확히 두 개가 함께 포함됨을 강조하는, 한국어에는 없는 독특한 단어입니다.
own: 남과 공유하지 않는 온전한 나의 소유
He lives in his own world.
이 표현은 한국어로 100퍼센트 명확하게 한 문장으로 해석할 수 없습니다. 한국어엔 없는 개념인 'own'이란 단어 때문입니다. "his own world"란 과연 그의 어떠한 세계라는 말인 걸까요?
'own'은 기본적으로 소유한다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이 개념이 발전하여 단순한 소유만이 아니라, 남들과 공유하지 않는 ‘온전히 자기 것’이라는 개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했습니다.
고대 영어권 사회에선 개인의 소유권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어요. 반면에 농사를 사람들과 같이 짓던 우리 조상들은 개인의 재산보다는 공동 소유의 개념이 강했고요. 고대 영어권 사람들에겐 어떤 것이 내 것임을 강조하는 표현이 필요했습니다.
중세 유럽에선 영주와 농노가 있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땅을 가지지 못했습니다. 그 당시에 내가 땅을 가진다는 뜻의 ‘own land’라는 개념은 자유와 독립을 의미했습니다. 땅을 소유했다는 것은 그 땅을 누구에게도 간섭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어요.
따라서 'own'은 개인의 소유로서 다른 누구와도 공유되지 않음을 강조합니다.
예시 문장은 그 남자가 남들과 공유하지 않는 자신만의 특별하고 개인적인 세계에서 산다는 의미를 표현한 겁니다.
'own'은 소유와 독립의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기억해 보세요.
turn: 회전하면 변한다
The Hulk may turn green.
헐크가 녹색으로 변할지도 모른다는 표현입니다. 변한다는 의미를 표현하는 영단어 'turn'은 기본적으로 회전을 의미합니다. 문 손잡이를 돌리거나, 피자를 뒤집거나, 길을 가다 방향을 바꾸려면 회전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런 상황을 표현할 때 'turn'을 사용하는 거예요.
회전을 통해 방향을 바꾸면 방향이 변합니다. 회전이 변화의 개념으로 확장된 것이죠. 이런 배경에서 'turn'은 상태가 변한다는 의미로도 확장되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색깔이나 계절의 변화를 나타낼 때도 'turn'을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The sky turned dark.
이 문장에선 하늘이 어둡게 변한 것이고요.
The milk turned sour.
이건 우유가 상해버린 겁니다. 원래 안 상했었는데 상한 상태로 변해버린 것이죠. 원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바뀐다는 겁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