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지식 학습 1
kind of: 어떤 것의 종류
I kind of like this song.
이 노래가 좀 마음에 든다, 좋은 것 같다는 뜻의 영어 표현입니다.
'kind'는 종류라는 뜻입니다. 종류를 나타내는 표현을 위해 사용되는 말이죠.
A kind of fruit
과일의 한 종류를 뜻합니다.
그런데 이런 표현이 어떤 개념의 한 가지 종류를 나타내는지라 의미가 확장되어, “딱 맞는 건 아니지만, 그런 느낌이야”라는 개념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딱 맞는 그런 느낌은 정확히는 아니지만 그런 것과 비슷한 종류라는 거예요.
I kind of know what they’re talking about.
그들이 이야기하는 게 무엇인지 대략 알 것 같다는 겁니다. 정확히 아는 건 아니지만 비슷하게 좀 알 것 같다는 뜻입니다.
I kind of expected that.
그걸 어느 정도 예상했다는 말이고요. 정확히 예상한 건 아니지만 비슷하게 예상은 했다는 겁니다.
She kind of agreed with me.
그녀는 나의 말에 어느 정도는 동의했다는 것이고요. 완전히 동의한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비슷하게는 동의했다는 겁니다.
order me around: 나한테 이것저것 명령한다
She keeps ordering me around.
그녀가 나한테 계속 이것저것을 시키면서 부린다는 뜻입니다. ‘order’는 명령의 의미를 전달해요. ‘around’는 주변을 의미하니 사람을 이리저리 보내서 일을 시키는 모습을 잘 표현합니다. 짜증 나거나 불편한 일을 반복적으로 명령하면서 시키는 모습인 것이죠.
rather: 더 빠르게 우선적으로
Let’s walk rather than take the bus.
버스를 타기보단 차라리 걸어가자는 뜻의 영어 표현입니다. 버스를 타는 것이 걸어가는 것보다 손해가 더 많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버스를 타는 것은 손해를 발생하게 하니 차라리 걷자는 거예요. 예를 들어 아마도 가는 길의 거리가 그렇게 길지 않다거나 혹은 버스비가 아깝기 때문일 수도 있죠.
2가지 선택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 그 선택의 이유가 나머지 선택이 좋지 않은 선택이기 때문에 그 선택을 피해야 함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이 바로 'rather'입니다.
‘rath’는 본래 빠르고 민첩하다는 뜻에서 시작한 말입니다. 여기에 ‘er’이 붙어 'rather'가 되면 더 빠르고 더 민첩하게 우선적으로 행동한다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죠.
더 빠르게 행동한다는 건 더 앞서서 선택한다는 것이고, 그렇게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이유는 그 선택이 차라리 더 나았기 때문입니다. 그런 선택을 빨리 앞서서 해야 손해를 줄일 수 있다는 거예요.
Rather than complain, do something.
불평하느니 차라리 뭔가를 하라는 말이죠. 차라리 그게 더 나은 선택이기 때문입니다.
I would rather sleep than study right now.
당장 공부를 하기보단 차라리 잠을 자겠다는 표현입니다. ‘would’는 ‘will’의 과거 형태로서 어떤 걸 선택할 것이라는 가정적인 의미를 표현합니다. 그런 상황이라면 그런 선택을 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죠.
She works for passion rather than money.
그녀는 돈보다는 열정을 위해 일을 한다는 거예요. 물론 돈을 많이 받는 건 좋은 일이지만 열정을 위해 일하는 것이 그녀에게 더 낫기 때문입니다.
I’d rather not go.
차라리 안 가는 게 낫겠다는 표현이고요. 가는 선택을 하는 것보다 안 가는 것이 나에게 더 낫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안 간다는 선택지가 매우 훌륭한 선택은 아니겠지요. 그저 손해가 덜 날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차라리 안 가겠다는 겁니다.
not A but B: A 아니고 B
I like all fruits but bananas.
난 모든 과일을 좋아하지만 예외가 있습니다. 바나나는 빼야 한다는 거죠.
‘but’은 밖에 있는 것이라는 고대 영어 단어에서 나온 말로서 기본적으로 제외된 것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제외, 예외’의 개념을 표현하는 것이죠. 모든 과일들을 좋아하나 바나나를 제외한다는 거예요.
Everyone but John came.
모두가 왔는데 존은 제외한다는 겁니다. 존을 제외하고 모두가 왔다는 것이죠.
‘but’은 이렇듯 제외, 예외의 개념을 나타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두 대상을 비교하는 표현에도 사용되었습니다.
바나나가 제외되었다면 모든 과일들과 바나나를 비교할 수 있는 것이고요. 존을 빼고 모두가 왔다면 존과 모두를 비교한 것일 수 있습니다.
대상들을 비교해 봤더니, 난 모든 과일들을 좋아하지만 바나나는 안 좋아하는 것이고, 모두 왔지만 존은 안 왔다는 것이죠.
I’m not hungry but thirsty.
난 배고픈 게 아니라 목이 마른 겁니다. 배고픈 것과 목마른 것을 비교해 봤더니 목이 마른 쪽이었다는 것이죠. 이렇듯 ‘but’이 본래 가지고 있는 제외의 개념을 활용해 대상들을 비교하고 둘 중 하나를 강조하는 표현을 할 수 있게 된 거예요.
이런 비교 표현 방식을 가리켜 ‘대조’라고 합니다. 제외의 개념은 자연스럽게 대조 표현을 가능하게 한 겁니다. 대조라는 것은 결국 두 대상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니까요.
I tried, but I failed.
난 노력했지만 실패했다는 뜻입니다. 이 문장처럼 2개의 문장을 ‘but’으로 연결하면 두 문장이 서로 반대되는 내용임을 나타내는 표현 방식이 됩니다.
이때의 ‘but’은 한국어로 번역하면 ‘하지만, 그러나’ 정도가 적당합니다. 제외의 개념이 서로 반대되는 내용을 표현하는 연결의 역할을 하게 한 거예요.
이 모든 개념들이 ‘but’이 원래 지니고 있는 ‘제외’의 개념에서 출발했다는 것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제외’가 대조 표현을 만들어냈던 겁니다.
get in the way: 길 영역에 이동하다
Smartphones can get in the way of your communication.
스마트폰은 너의 의사소통을 방해한다는 뜻의 표현입니다. 직역하자면 스마트폰이 너의 길 영역에 들어서는 겁니다. 길을 막아서 방해하는 모습인 거죠. 걸림돌이 되는 모습입니다.
뻥 뚫린 길을 신나게 달려가고 싶은데 내 앞에 누군가 있어서 가로막고 있으면 방해되고 지장을 줍니다. 이런 논리로 ‘get in the way’는 방해한다는 개념을 뜻하게 된 거예요.
His pride got in the way of saying sorry.
그의 자존심이 미안하다고 말하는 것의 길 영역에 들어섰다는 겁니다. 자존심이 사과하는 걸 방해했다 즉, 사과를 못하게 만들었다는 뜻이에요.
The noise got in the way of my concentration.
소음이 내 집중력을 방해한다는 겁니다. 내 집중력의 길 영역에 들어서서 가로막고 있는 것이죠.
Sometimes emotions get in the way of logic.
때때로 감정이 이성을 방해한다는 것이고요. 격해지는 감정이 합리적인 판단을 방해하거든요.
what: 대상 그 자체
What is this?
이것이 무엇이냐고 묻는 표현입니다. 이 예문에서처럼 what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무엇’이라는 뜻이죠. 질문을 할 때 쓰는 말입니다.
I don’t know what he said.
나 모르는데 무엇을 모르냐면, 그가 말한 것이 무엇인지 모른다는 겁니다. 무엇을 그가 말했는지 모른다는 것이죠. 다시 말해, 그가 말한 내용 그 자체를 모른다는 뜻이 됩니다.
이렇게 문장 속에서 'what'이 사용되면 내용이나 대상 그 자체를 의미하게 되었어요. ‘무엇’이라는 말은 결국 내용이나 해당 대상을 가리키는 말인 것이니까요.
This computer is what I want to have.
내가 가지고 싶어 하는 게 무엇일까요? 이 컴퓨터인 겁니다. 이 컴퓨터는 내가 가지고 싶어 하는 ‘대상’이라는 것이죠. 이런 논리로 원래 무엇인지를 물어보는 말로 쓰였던 'what'이 문장 속에서는 실제적인 대상을 나타내는 말로도 사용되었던 거예요.
What you’re saying is hard to believe.
네가 말하고 있는 것은 믿기 어렵다는 말입니다. 무엇을 믿기 어렵다고요?
네가 말하고 있는 그 내용인 것이죠. 한국어 번역에선 ‘what’은 ‘것’ 정도가 적당합니다. 그래서 네가 말하고 있는 ‘것’인 거예요.
What my dad planted is this tree.
아빠가 심었던 것은 이 나무이고요. 아빠가 무엇을 심었다고요? 이 나무입니다. ‘what’은 대상 그 자체인 거예요.
0 댓글